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용인 버스 93

덤프버전 :

||


파일:용인 93번 현대차량.webp
파일:93-1_8920.png
93번93-1번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5. 연계 철도역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용인시 CI_White.svg 용인시 일반시내버스 93번
기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(용인공용버스터미널)종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(상덕)
종점행첫차06:12기점행첫차06:37
막차20:15막차20:40
배차간격1일 6회
운수사명경남여객인가대수1대
노선용인터미널 → 라이프아파트 → 용인예술과학대학교 → 신기마을 → 천리입구 → 서리 → 상덕 → 용인대학교 → 용인대입구 → 명지대입구 → 처인구청 → 용인공용버스터미널

파일:용인시 CI_White.svg 용인시 일반시내버스 93-1번
기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(용인공용버스터미널)종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(상덕)
종점행첫차06:55기점행첫차07:15
막차21:00막차21:20
배차간격1일 6회
운수사명경남여객인가대수0대(93번 차량으로 운행)
노선용인터미널처인구청명지대입구 → 용인대입구 → 용인대학교 → 상덕 → 서리 → 천리입구 → 신기마을 → 태성중·고교 → 현대아파트 → 용인공용버스터미널


2. 개요[편집]


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.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. (93번, 93-1번)


3. 역사[편집]


  • 용인시에서 꽤나 오래된 노선 중 하나로, 과거 경남여객 홈페이지의 회사연혁란에 용인-상덕을 오가는 노선이 벽지노선 개통이라 하면서 나와 있었다.

  • 2014년 2월부터 신기마을 일대를 경유한다.


4. 특징[편집]



  • 93번과 93-1번 모두 순환하는 노선 형태를 가지며, 93번은 용인예술과학대 → 천리 → 서리 → 용인대 → 처인구청 순으로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노선이고, 93-1번은 반대로 처인구청 → 용인대 → 서리 → 천리 → 태성고 순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.

  • 소형차량(현대 카운티) 1대로만 93번, 93-1번 둘 다 운행한다. 따라서 차량 외부에는 93번 노선 안내만 있으나, 93-1번 운행 시에는 차량 앞에 "93-1"이라 적힌 종이를 앞에 두고 운행한다.
    차내에도 역시 한 노선도에 93, 93-1번 둘 다 그려져 있다.

  •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서 탑승 시, 구터미널 출구 옆 CU 용인터미널점 근처에 있는 임시 정류장에서만 승차할 수 있다. 매표는 따로 하지 않으니 현금이나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된다.


4.1. 시간표[편집]


  • 용인터미널 홈페이지에서 운행시간표를 확인할 수 있다. 변동사항은 매번 용인터미널 홈페이지에서 업데이트되고 있다.

용인 버스 93번 운행시간표
2023년 7월 기준 출처
횟수용인터미널상덕비고
106:1206:37천리→서리→용인대
208:1508:40
311:2511:50
414:2514:50
517:1517:40
620:1520:40

용인 버스 93-1번 운행시간표
2023년 7월 기준 출처
횟수용인터미널상덕비고
106:5507:15용인대→서리→천리
210:0510:25
313:0513:25
416:0016:20
519:2019:40
621:0021:20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없음.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1 00:20:49에 나무위키 용인 버스 9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관련 문서